▲ 13일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의실에서의 토론회 모습

“일제 강점기 당시 한국교회의 '신사참배 반대운동'은 신앙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명백한 민족운동으로 평가돼야 합니다.”
황민화(皇民化)가 강요되던 1935년부터 1945년 해방이 될 때까지 한국교회는 신사참배 논쟁에 휘말렸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이들의 고난과 수난을 당했다.
일제가 '국가의례'라는 명분을 앞세워 한국의 기독교인들에게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애국과 천황제 이데올로기에 굴복할 것을 강요하며 기독교인과 교회에 선택을 강요했다.
이 시대 한국교회는 신사참배 문제를 편의적으로 해석하고 그를 수용함으로써 신앙의 정통과 본질을 외면하는 과오를 저질렀다.
신앙적 양심을 지키기 보다는 신사참배를 국민의례라고 발표한 일제의 기만을 받아들임으로써 그들은 자신의 행위가 기독교 신앙과 배치되지 않는다는 정당화의 명분으로 수용해 배교행위를 자행하고 반대급부를 얻어낸 것이다.
소수의 반대자들은 신사에 결코 참배할 수 없다며 투옥과 순교를 감수하며 공개적으로 저항했다. 주기철ㆍ손양원 목사 같은 이들은 신사참배거부와 항거운동을 펼친 공적으로 '대한민국 독립건국운동 애족장'을 받았으나, 다른 이들에 대한 추서나 포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은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후손들이 국가보훈처 독립운동 공적심사위원회에 '독립운동가' 신청을 냈지만 신사참배운동은 '단순한 종교 활동'이라는 이유로 기각됐다. 이현속 장로의 경우 지난 2008년 의문사진상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신앙행위이자 항일운동 중 고문으로 사망했다'는 조사결과 통보서를 첨부 신청했으나 기각 당했다.
이런 가운데 이들 즉 '신사참배 거부 투쟁 기독교인'들에 대한 독립운동가 서훈 (재)청원 운동 움직임이 일고 있어 관심을 모은다. 주요 교회나 단체ㆍ개인을 대상으로 10만 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 '청원서'를 국가보훈처에 제출한다는 것이다.
사단법인 아침과 김한표ㆍ이주영ㆍ이혜훈 의원 등은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의실에서 '일제 신사참배 반대운동은 독립운동인가'를 주제로 학술토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일제 강점기 당시 '신사참배거부 항거투쟁'은 기독교 신앙행위 곧 종교 활동을 넘어, 잃어버린 조국을 되찾으려는 민족저항운동이었고, 애국항일독립운동이었다”면서 “올곧은 기독교지도자들이 있었음을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인식시키는 올바른 역사 가르침이 필요하다”고 추진 배경을 밝혔다.
이들은 “신사참배 거부투쟁을 주도한 혐의로 5년간 평양감옥에 수감됐던 조수옥 권사의 경우, 유관순 열사의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2002년 제정된 '유관순상'의 초대 수상자였다”며 “조수옥 권사의 공적은 당시 독립운동과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덧붙였다.
이에 독립운동가 추서를 요청할 신사참배 거부운동가들 중 1차로 △한상동 목사 등 장기간 투옥된 11명 △조수옥 권사 등 여성 거부운동가 6명 △최봉석 목사, 박의흠 전도사,•이현속 장로 등 순교자 3명 △한부선(Bruce F. Hunt) 등 선교사 5명 △기타 항일독립운동가 3명 등 28명에 대한 '10만 명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한편 토론회에서는 박희천(내수동교회) 원로목사가 '내가 본 출옥성도 한상동 목사'를 주제로 특강을 했고, 최재건 교수(연세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와 최덕성 총장(브니엘신학교)이 주제 발표를 했다
최재건 교수는 “신사참배는 한국교회의 수치였지만 순교를 감수하며 반대투쟁을 벌인 것은 한국교회의 영광”이라며 “이는 천황숭배 사상에 대한 승리였고 일본제국의 위세를 멸시한 애국혼의 승리였다”고 평가했다.
최덕성 총장은 “대한민국 보훈처는 신사참배를 개인적으로 거부하다가 순교한 주기철 목사를 독립유공자로 추서하고 포상했지만, 다수의 신사참배거부운동 구성원에 대한 포상은 지금까지 미뤄왔다”며 서훈 청원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크리스찬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