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19일 개최된 KPI포럼에서 박명규 교수(왼쪽에서 두번째)는 “책임정치를 감당하려는 현실주의적 시각과 그것을 초월할 수 있는 사상적, 윤리적 지향성을 함께 지니는 균형감각이야말로 화해를 실현하는 주요한 역량이 될 것”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한반도평화연구원(이하 KPI, 원장 윤덕룡)은 지난 3월19일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랑의 열매회관 대강당에서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 한반도 분단과 통일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제5 7차 KPI 평화포럼을 개최했다.
오춘근 교수(경희대)의 사회로 진행된 포럼에서는 박명규 교수(서울대)가 '평화와 화해, 책임정치와 심정윤리의 간극'을, 조정현 교수(한국외대)가 '한반도통일과 과도기정의'를, 김경숙 박사(한동대 통일과 평화연구소)가 '북한에서의 용서와 화행 대한 성찰'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 후 김병로교수와 김성경교수가 논찬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첫 발표를 한 박명규 교수는 “평화를 사랑하는 것과 이를 실현하는 것은 간극이 있다. 평화와 화해를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역량구축이 중요하다. 한국사회를 생각해볼 때 첫째, 책임정치와 심정윤리의 균형을 이룰 것, 둘째, 문화적 관용과 생활민주주의를 실현해 나갈 것” 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박교수는 “남북관계가 현실의 갈등 속에서 한쪽의 일방적인 용서의 결단이 화해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현실적 힘의 균형이 필요하다. 긴장의 구조적 악순환을 깨는 것은 결코 쉽지 않기에 선의의 논리적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다.“ 면서 “책임정치를 감당하려는 현실주의적 시각과 그것을 초월할 수 있는 사상적, 윤리적 지향성을 함께 지니는 균형감각이야말로 화해를 실현하는 주요한 역량이 될 것” 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이어서 박교수는 “문화적 관용과 생활민주주의가 생활의 원리 속에서 사회적 규범으로 자리잡도록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생활 속에서 모든 이들의 인격과 권리를 존중해 주는 것이 사회 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역량구축도 필요하다. 이는 즉 서로 다른 이해가 각자의 입장에서 존중받는 것”이라고 통일후를 대비한 조언을 했다.
김경숙 박사는 “북한체제는 수령에 대한 신격화와 혁명적 세계관을 확립해야 했기에 용서가능성이 부재한 사회다. 특히 사회화과정에서 집단적 적개심과 복수심을 내재화하는데 집중했기에 개인의 내면적 상처로 인한 용서능력이 저하된 상태다. 따라서 통일후 북한사회 치유를 위해서는 누가 누구를 용서할 것인지, 진실규명과 명예회복, 배상을 위해 과거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고 특히 기독교적 용서를 강조했다.
저작권자 © 크리스찬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